장미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00:53
본문
Download : 장미촌.hwp
`)를 발표, 이후 조선일보(1920. 3. 5), 동아일보(1920. 4. 1), 시대일보(1924. 3.31)등 신문의 창간과 잡지 [서광(曙光, 1919)], [서울91919)], [삼광(三光, 1919)], 월간 잡지 [개벽(開闢, 1920. 6)], [공제(共薺, 1920)], 학생 잡지 [학생계(學生界, 1920. 7)], 문예 잡지 [폐허(廢墟, 1920. 7)], 월간 잡지 [새동무(1920.11)], 그리고 19 21년에 잡지 [청년], [신천지], 조선청년연합회기관지 [아성(我聲)], 잡지 [신민공론(新民公論)], 1922년에 월간 잡지인 [동명(東明)], [조선지광(朝鮮之光)], 노농회 기관지 [노동성(勞農聲)], 순간지(旬刊紙) [신생활] 1924년에 [조선문단(朝鮮文壇)] 등의 많은 잡지와 동인지들이 발행되어 여러 사상이 개진, 사상적 논의와 논전(論戰)이 활성화 되고 저작물의 창작과 발표 및 전파가 외형적으로 나마 가능케 되었으며 한국 문단에 서구의 세기말적 경향과 퇴폐주의, 상징주의 또는 신낭만주의, 낭만주의 등 각종 예술문예사조가 단시간에 유입되어 유행하고 …(drop)
Download : 장미촌.hwp( 52 )
,법학행정,레포트
장미촌에 대한 글입니다.장미촌 , 장미촌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장미촌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장미촌
설명
다.
장미촌
강압적 탄압일변도의 무단정치(武斷政治)에서 회유와 동화, 민족 내부의 이간 등을 유도하기 위한 문화정치(文化政治)로 전환, 제한적이나마 최소한의 언론, 출판 및 활동의 자유가 확보되던 시기로 당시 총독이던 사이토(齋藤實, 데라우치(寺內正毅), 하세가와(長谷川好道)에 이은 제 3대(1919. 8.12~1927.12.10), 5대(1929. 8.17~1931. 6. 17) 조선 총독)는 첫째, 조선의 독립을 허하지 않을 것, 둘째, 조선인의 조선 자치를 허하지 않을 것, 셋째, 조선에 지방 자치를 허할 것, 넷째, 재외 조선인에 대한 보호 취체의 방법을 수립할 것, 다섯째, 문명적 행정을 행할 것 등으로 구성된 조선의 통치 방침을 정한 뒤 훈시(1919. 9. 3, `언론 출판 집회 등에 대하여는 질서와 공안 유지에 무방한 한 상당히 고려를 가하여 민의창달을 허(許)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