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인력 부족 현상 심각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9:25
본문
Download : 0209.gif
제조업은 생산현장 인력인 단순노무직(11.56%)의 인력부족현상이 가장 심했으며 기능직(10.78%), 전문직(9.31%), 기술직(9.14%), 판매직 (6.82%), 사무직(4.14%), 서비스직(3.01%) 순으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국인 근로자 활용비율은 제조업이 21.18%, 사업서비스업이 3.52%로 각각 나타났다.
또 중소기업들의 절반 가량이 신규채용인력을 대상으로 교육과 훈련을 실시했으며 지식·기술집약업종보다 기능직 위주로 교육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인력 부족 현상 심각하다
중소기업의 인력부족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따
다.
Download : 0209.gif( 36 )
중소기업 인력 부족 현상 심각하다
중기청은 이번 조사 대상 업체의 인력조정 계획을 토대로 내년도 5월 말 기준 중소제조업의 인력부족률을 예상한 결과 중소제조업은 7.80%, 사업서비스업은 5.43%로 올해 대비 각각 1.56%, 0.58% 낮아지지만 현장인력의 부족률은 크게 완화되지 않을 것으로 展望(전망) 했다.
이번 조사에서 제조업의 54.2%, 사업서비스업의 38.6%에 해당하는 기업이 비정규직 인력으로 일용근로자와 외국인 연수생, 인턴사원 등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그래프/도표 보기
이는 최근 국내의 경기 회복 및 수출 확대, 실업률 하락 등 산업체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득 수준 및 삶의 질 향상으로 국내 인력들이 중소기업 취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레포트 > 기타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재생용 가공원료(11.69%), 기타 기계 및 장비(11.53%), 고무·플라스틱(11.38%), 기타 운송장비(11.28%), 봉제의복·모피제품(10.98%) 등 근무환경이 열악한 업종일수록 인력부족률이 높게 나타났다.
설명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
중소기업 인력 부족 현상 심각하다
중소기업 인력 부족 현상 심각하다
사업서비스업은 IT산업 분야인 정보처리 및 기타 컴퓨터 운영 관련업(9.41%)의 인력부족률이 연구 및 개발(7.73%),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90%)보다 심각했다.
중기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관계 기관에 제공해 범政府(정부) 차원의 산업인력정책 로 활용토록 하는 한편 생산현장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기회를 확대해 기술 수준을 향상시켜 나갈 방침이다.
중소기업청이 최근 중소기업 8460개(제조업 7038개, 사업서비스업 142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인력 실태(實態)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제조업체의 인력부족률은 9.36%로 지난해 3.98%보다 6.6% 증가했으며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중소사업서비스업체의 인력부족률도 6.01%에 달했다. 사업서비스업은 판매관리직(11.98%), 기술직(8.18%), 전문직(7.85%), 기능직(7.23%), 단순노무직(5.05%), 서비스직(3.29%), 사무관리직(3.09%) 순으로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집계됐다.
순서
중소기업들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으로는 중소기업 기피(33.7%) 및 임금조건(25.4%), 작업환경 열악(13.3%) 등이 주로 꼽혔으며 직종별로는 업종별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기계·화공·전기·통신 분야의 인력 충원이 어려운 것으로 分析(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