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공간과 文化(cul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9:29
본문
Download : 사이버 공간과 문화.hwp
요컨대 사이버공간이라는 공상과학의 용어가 인터넷(Internet)이라는 물리적 실체를 얻게 된 것이다. 이를테면 인터넷(Internet)이라는 새로운 매체의 特性(특성)이 이 낯선 용어와 잘 어울린 것으로 볼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그리고 1991년에 월드와이드웹(WWW)이 개발됨으로써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같은 인터넷(Internet)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이것은 우선 인터넷(Internet)의 기술적 特性(특성)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이로부터 중요한 사회적 결과가 나오게 된다 정보통신기술을 단순한 도구로 다루어서는 안 되는, 매클루안의 `미디어가 바로 메시지`라는 주장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아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인터넷(Internet)의 기술적 特性(특성)은 분산형 정보통신망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분산형 정보통신망은 단순히 정보통신망을 기술적으로 분산시키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의 흐름 자체를 사회적으로 분산시키는 중요한 결과를 낳게 된다 모든 정보가 중앙으로 흘러들어갔다가 그곳에서 다시 곳곳으로 흘러나가는 것…(생략(省略))





Download : 사이버 공간과 문화.hwp( 74 )
사이버 공간과 文化(culture)
,인문사회,레포트
사이버공간과문화 , 사이버 공간과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런데 달리 생각해 보자면, 사이버공간이라는 낯선 용어가 인터넷(Internet)을 가리키는 것으로 널리 사용된 데에는 어떤 이유가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처음에는 미국의 핵군사전략(戰略) 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지만, 오늘날 이것은 세계의 모든 컴퓨터 통신망을 연결하는 컴퓨터 통신망이 되었다. 따라서 본부가 적의 공격을 받으면 전체 정보통신망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었다. 이 特性(특성)은 특히 현대의 지배적 매체인 텔레비전과 흔히 비교되는 데, 보통 분산성과 양방향성이 그 가장 중요한 特性(특성)으로 지적되곤 한다. 애초에 인터넷(Internet)은 바로 이것을 목표(目標)로 개발되었다. 이 무렵부터 인터넷(Internet)은 사이버공간으로 널리 불리기 스타트했다.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사이버공간과文化(culture)
1. 사이버공간의 槪念
2. 사이버공간의 特性(특성)
3. 사이버공간과 문화
4. 현실과 매체
2. 사이버공간의 特性(특성)
인터넷(Internet)은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아 기술적으로 말하자면, 이것은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가리킨다. 인터넷(Internet)이 개발되기 전에는 일반 방송은 말할 것도 없고 군사정보통신망도 집중형 정보통신망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Internet)이 개발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