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프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23:11
본문
Download : 에리히 프롬_2102640.hwp
하지만 동시대의 유물론적인 사고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인간의 정열을 본능의 소산으로 보게 되었다. 그 결과 그는 성애의 개념(槪念)을 지나치게 확대하게 되어 모든 인간의 정열들을 성욕이라는 본능이 발현되는 다양한 형태로 간주하게 되었다. 그는 기본적으로 마르크스에게 무한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 인본주의적 사회주의자이면서도 루카치와 같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반동 사상가들로 배척해 마지않는 프로이트나 니체, 하이데거와 같은 사람들의 통찰을 받아들이는 데 주저가 없다.
순서
에리히 프롬
,인문사회,레포트
1. 들어가며
에리히 프롬은 20세기의 사상가들 중에서 현대 철학의 중심 조류였던 정신analysis학과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실존철학을 종합하려고 시도한 유일한 사상가다. 프로이트의 어떤 사상을 받아들이고, 또 어떤 사상을 비판했는가를 생각하면서 프롬과의 대화를 처음 해 보자.
2. 프롬의 프로이트 이해
1) 프로이트의 한계 1 - 인간에 대한 본능주의적인 파악이 갖는 문제점(問題點)
▷프로이트는 신경증의 기원을 유아기 상태에서 어린애가 자신의 성욕과 부로의 권위 사이에서 겪는 심리적인 갈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데서 찾고 있다
⇒프롬은 아버지와 자식 사이의 갈등은 그러한 성적인 경쟁에서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권위적인 억압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프로이트는 단순히 본능뿐 아니라 사랑, 증오, 야심, 탐욕, 질투, 선망과 같은 인간의 저열을 과학적으로 탐구했다.
이에 우리는 `프로이트의 사상을 받아들여 프롬 자신의 철학적 사상의 틀 속에서 어떻게 수정을 하였는가`에 초점을 두고 조사를 하였다.
☞프롬은 프로이트의 심리학을 ‘결핍의 심리학’으로 규정하고 있다 프로이트는 성욕 속에서 오직 생리학적인 강제밖에 보지 못…(skip)
레포트/인문사회





에리히프롬과프로이드
에리히 프롬과 프로이드에 관한 내용입니다.
⇒프롬은 모든 열정을 본능으로 환원시키는 기계론적이고 환원주의적 견해를 버리고 인간을 전체적으로 보아야 하며, 정열은 특정한 생리적 욕구의 충족과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전체적인 성장에 대한 욕구와 관련되어 잇는 것으로 본다.에리히프롬과프로이드 , 에리히 프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에리히 프롬_2102640.hwp( 77 )
에리히 프롬과 프로이드에 관한 내용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