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클린 文化 캠페인](4)역기능 유형별내역⑫인터넷(Internet)중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7:14
본문
Download : 20050729-.jpg
중독 고위험자 중 수면 부족을 호소한 이는 지난해 59.1%에서 69.9%로 늘었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는 응답자도 43.9%에서 60.3%로 증가해 고위험군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이 요구됐다. 또 중독유형을 靑少年과 성인으로 구분했을 때 靑少年(고위험: 2.6%, 잠재적 위험: 12.7%)의 중독정도가 성인(고위험: 2.3%, 잠재적 위험: 7.6%)에 비해 여전히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8월 9일부터 12일까지 3박 4일간 캠프 형식의 ‘인터넷중독 쉼터학교’도 운영할 계획이다.
순서
[e클린 문화 캠페인](4)역기능 유형별현황⑫인터넷중독
전자신문 KT문화재단 공동기획
문제는 인터넷이 무력감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는 도구를 넘어서 건강과 정상적인 생활의 리듬을 파괴하는 중독의 수준에 이른 사례(instance)가 적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예년과 差別(차별) 화되는 결과는 중독 고위험사용자와 잠재적 위험군은 각각 지난해에 비해 0.9%, 1.2% 감소했으나 고위험 사용자들의 이용 양상이 일반인과 점점 더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KADO)이 코리아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실시한 최근 조사에 의하면 대다수 靑少年 및 직장인들은 이같은 상황에서 TV를 보거나 친구를 만나기보다 인터넷 게임·채팅에 빠져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또 인터넷 이용으로 인하 부정적 effect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건강악화(고위험: 82.2%, 잠재적 위험: 83.7%, 일반: 87.6%)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초·중·고교생들은 여름방학을 맞아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가 마련한 다양한 중독 예방 프로그램(program]) 에 참여할 수 있다아
[e클린 문화 캠페인](4)역기능 유형별현황⑫인터넷중독
레포트 > 기타
김유경기자@전자신문, yukyung@
“학업이나 직장 문제로 기분이 나쁘거나 우울할 때 당신은 주로 무엇을 하십니까?”
Download : 20050729-.jpg( 42 )
이 센터는 8월 한 달 간 매주 2회씩 靑少年을 위한 인터넷 사용 조절 집단 상담 프로그램(program]) 과 중독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고위험사용자군, 인터넷 중독 양상 심화=인터넷 중독자의 이용 행태 등을 세밀하게 조사, 分析한 이번 조사는 월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만 9세 이상 39세 이하 전국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e클린 文化 캠페인](4)역기능 유형별내역⑫인터넷(Internet)중독
설명
[e클린 文化 캠페인](4)역기능 유형별내역⑫인터넷(Internet)중독
◇건강악화·생활파괴 등 악effect 초래=인터넷 사용이 과다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다는 응답자도 21.5%에 달했으며 靑少年은 24.7%로 좀더 많았다.
◇부모·전문상담센터 등 도움 청해야=자신이 인터넷 중독이라고 판단된다면 부모·친구 등 가까운 주변 사람의 도움을 청하거나 전문상담센터 등을 찾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제언하고 있다아 실제로 응답자들은 ‘인터넷 중독시 도움을 받고자 하는 사람’을 묻는 질문에 부모(43.6%)를 1순위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