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음악의 이해와 감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3:18
본문
Download : 한국전통음악의 이해와 감상.hwp
이것은 서양음악의 12반음 체계와 비교되며 연주되는 음악의 편성악기에 따라 황종의 음 높이는 C가 되기도 하고 E♭이 되기도 한다.
나. 삼분 손익법
삼분 손익법은 12율의 음 높이를 정하는 방법으로 고대 China에서부터 사용되어온 음 높이 산출법으로 기본 율관을 3등분하여 그 1/3을 빼서 율을 산출해 내는 삼분 손일법과 1/3을 더하여 율을 산출해 내는 삼분 익일법을 교대로 반복하여 12율을 산출해 내는 방법이다. 오늘날에는 서양음악과 함께 도입된 오선보 기보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오선보를 사용하기 이전에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기보법은 율자보, 궁상자보, 공척보, 약자보, 육보, 합자보, 정간보, 오음약보, 연음표, 대강보, 선율보 등이 있었으며, 이런한 여러 기보법들 중에 …(생략(省略))
순서
Download : 한국전통음악의 이해와 감상.hwp( 24 )
레포트/감상서평
다. 예를 들어 기본 율인 황종의 율관이 9촌이라면 이것을 3등분으로 3분한 3촌을 빼어 손일 하면 6촌이 남게 되는데 이 6촌 길이의 율관에서 나오는 음은 황종보다 완전 5도 높은 음인 임종이 된다 그리고 여기서 산출된 6촌 길이의 임종 율관은 다시금 3등분한 2촌을 더해 익일하면 8촌이 되는데, 이 8촌 길이의 율관에서 나오는 음은 임종보다 완전 4도 낮은 태주가 된다 이러한 태주 율관을 다시 삼분 손일하면 남려 율관이 나오고 남려 율관을 삼분 익일하면 고선 율관이 나오는데, 이러한 원리로 삼분 손일과 삼분 익일을 반복하게 되면 12개의 율관이 산출된다
다. 이 12율은 각각 황종(黃), 대려(大), 태주(太), 협종(夾), 고선(姑), 중려(仲), 유빈(㽔), 임종(林), 이칙(夷), 남려(南), 무역(無), 응종(應)과 같은 고유한 율의 이름 즉, 율명을 지닌다. 기보법
기보법이란, 말 그대로 음악을 표기하는 방법이다.






가. 12율(十二律)
1. 감상을 위한 기초이론 가. 12율(十二律) 예로부터 한국음악에서는 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으로 나누어 사용하여 왔으... , 한국전통음악의 이해와 감상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1. 감상을 위한 기초theory(이론)
한국전통음악의 이해와 감상
설명
예로부터 한국음악에서는 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으로 나누어 사용하여 왔으...
1. 감상을 위한 기초이론(理論)
가. 12율(十二律)
예로부터 한국음악에서는 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으로 나누어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12반음들을 12율려 혹은 간단하게 12율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