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0 13:31
본문
Download : 민중운동.hwp
이 과정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해방 직후 민중운동과 4·19 직후 다시 활성화된 민중운동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정근식, 「해방 직후 전남지역의 노동운동」(『전남사회운동사연구』, 한울, 1992)
손형부, 「해방 직후 전남지역의 농민운동」(위의 책)
박철규, 「미군정기 부산지역의 민중운동」(ꡔ한국근현대지역운동사ꡕ 1 영남편, 여강, 1993)
박철규, 「해방 직후 통영읍의 사회운동」(ꡔ지역과 歷史(역사)ꡕ 1, 혜안, 1996)
그러나 민중운동 연구는 여전히 낙후된 연구분야이다.
특히 `해방3년사` 연구가 최고조에 달했던 80년대 후반에 해방 직후 민중운동 연구는 새로운 연구경향을 보였다. 이 시기에 민중운동 연구는 각 부문운동의 범주, 주체, 이념적 지향, 투쟁事例, 주·객관적 조건의 變化에 따른 시기별, 지역별 전개과정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부문운동과 전체운동의 관계, 특히 전위운동과의 관련성 속에서 민중운동을 설명(explanation)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조선공산당(이하 조공), 남조선노동당(이하 남로당)과 민중운동의 관계가 연구의 초점으로 등장한 것이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민중운동의 變化과정을 `내재적 발전`이란 관점에서 설명(explanation)하려고 하였다.
민중운동 연구는 80년대 중반 이후 민주화의 진전과 함께 노동·농민·청년·학생운동이 활성화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정치적으로 독재체제가 계속되면서 민중운동...
7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 학계는 민중운동 전반에 대해 역사적 의미를 축소평가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즉 일제시기와 해방후 민중운동을 연속선상에서 파악하려는 연구가 두드러졌다. 정치적으로 독재체제가 계속되면서 민중운동... , 민중운동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민중운동
,인문사회,레포트
7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 학계는 민중운동 전반에 대해 歷史(역사)적 의미를 축소평가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넷째, 중앙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지歷史(역사)례 연구가 늘고 있따 다음과 같은 연구가 대표적 성과이다. 정치적으로 독재체제가 계속되면서 민중운동 연구 자체가 금기시되기도 하였다.7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 학계는 민중운동 전반에 대해 history(역사) 적 의미를 축소평가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이것은 해방후 …(생략(省略))
Download : 민중운동.hwp( 40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셋째, 80년대 이후 변혁운동의 성장 분위기를 반영해 민중운동의 조직· 이념·戰略·전술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