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19:09
본문
Download :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hwp
이 향가들을 형식면에서 구분해 보면 4구체, 8구체, 10구체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아 있는 작품으로는 삼국유사의 14수, 균여전의 11수를 합해 모두 25수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4구체로 된 향가는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이며, 8구체로된 작품은 모죽지랑가, 원가, 처용가 등이다.
향찰이란 신라 시대에 한자의 音과 訓을 빌려서 우리말을 表音式(사람의 소리를 그대로 나타냄)으로 나타내던 글, 즉 넓은 뜻의 이두를 뜻하며, 이두는 신라 이후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서 한자를 우리말 식으로 적어 쓰던 일종의 맞춤법이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아직 우리말을 기록할 한글이 없었기 때문에 순수한 우리글로 표현하지 못하고 향찰 및 이두로 표기하였다.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목 차
Ⅰ. 서론
Ⅱ. 처용가
1. 내용
2.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Ⅲ. 도솔가
1. 내용
2.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Ⅳ. 처용가와 도솔가의 비교
※ bibliography
Ⅰ. 서론
향가는 삼국 시대 말엽에 발생하여 통일 신라 때 성행하다가 그 말기부터 쇠퇴하기 처음 하여 고려 초까지 존재했던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가이다.
예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문헌에 의하면, 향가의 뜻은 사뇌가, 도솔가, 또는 국풍, 자국지가라고 했음을 알 수 있따 이는 곧 국가(나라의 노래), 신라 시대 고유의 노래, 동방 고유의 노래라는 뜻이다. 그리고 10구체로 된 작품은 혜성가, 원왕생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도천수대…(To be continued )
다. ,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인문사회레포트 ,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 민속학적 측면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Download :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hwp( 20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국어,처용가,도솔가의,문학적,민속학적,측면,인문사회,레포트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국문학자들은 좁은 뜻으로는 `신라의 가요` 또는 `고향의 노래` 등 여러 가지 해석을 하고 있따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말로 된 노래라는 뜻에서 향가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향가는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의 서동요에서 고려 제4대 관종 때 균여 대사가 지은 보현십원가 11수에 이르기까지 약 370여 년 동안 성행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