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적 과학으로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물리학의 변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00:36
본문
Download : 합리적 과학으로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물리학의 변천.hwp
밀레토스의 아낙시메네스(Anaximenes, fl. 546~525 B.C.)는 만물의 근원은 공기(aer)라고 주장했는데, 특히 그는 응축화, 희박화의 원리에 의해 만물의 형성을 설명(explanation)했다.
밀레토스인으로서 탈레스의 제자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os, 610?~546/545? B.C.)는 만물의 근본을 무한자(apeiron)로 보았으며, 모든 다양성의 이면에는 통일성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믿었다. 이외에도 지진은 지구가 물위에 떠 있으면서 흔들릴 때 발생한다고 주장한 것처럼 신화에서 나오는 것과 같은 비자연적인 요인에 의한 설명(explanation)을 배제하고 합리적인 설명(explanation)을 시도했다. 더나아가 그는 지구가 직경이 높이의 3배인 원통처럼 생겼고, 별, 달, 태양은 지구의 직경의 9배, 18배, 27배라고 주장하는 등 그리스 천문학 최초의 천체에 대한 기계적 모형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지구가 하늘에서 누군가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주의 중심에 누구의 지탱도 받지 않고 정지해 있다고 믿었다.
합리적 과학으로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물리학의 변천에 대한 내용 입니다. 이렇게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등 밀레토…(투비컨티뉴드 )






합리적 과학으로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물리학의 변천
Download : 합리적 과학으로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물리학의 변천.hwp( 70 )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다.up합리적과학으로서고대에서현대까지물리학의변천 , 합리적 과학으로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물리학의 변천공학기술레포트 ,
up합리적과학으로서고대에서현대까지물리학의변천
순서
Ⅰ.고 대
1. 합리적 과학의 스타트
2.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1) 플라톤의 이데아의 theory(이론)
2) 플라톤의 자연관
3)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4) 생물학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
5)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구조
6) 아리스토텔레스의 물질 theory(이론)
7) 운동, 變化(변화), 原因
8) 아리스토텔레스와 그리스 자연철학의 전반적 특징
Ⅱ.중 세
1. 시대적 특징
2. 르네상스기의 과학
Ⅲ.근 대
1. 근대 물리학사의 개요
2. 계몽사조
3. 18세기 과학에 미친 뉴턴 과학의 influence(영향)
4. 과학의 전문직업화
5. 산업혁명기의 과학과 기술
Ⅳ. 현 대
1. 시대적characteristic(특성) - 거대과학기술의 출현
2. 거대과학 연구활동의 특징
3. 배경 사상
[Reference List]
1. 합리적 과학의 스타트
1) 초기 그리스의 자연철학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 단편
과학의 스타트은 좁게 자연에 대한 `합리적`, `체계적` 지식의 추구라는 면에서 살펴볼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과학은 소아시아 지방 밀레토스의 탈레스(Thales, 624?~548/545? B.C.)로부터 스타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류 歷史(역사)상으로 볼 때 탈레스가 이룩했던 가장 커다란 공헌은 그가 처음으로 근본물질과 變化(변화)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는 데 있다 그는 모든 물질의 근본이 물이라고 주장했으며, 우주는 물로부터 발산된 살아 있는 유기체라고 보았다.
설명
합리적 과학으로서 고대에서 현대까지 물리학의 변천에 대한 내용 입니다. 즉 공기가 희박화되면 불이 되고, 공기가 단계적으로 압축되면서 바람, 구름, 물, 흙, 돌 등이 형성된다고 하는 비교적 구체적인 變化(변화)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그 역시 신화에서 나오는 비자연적 요인에 의한 설명(explanation)을 배제하고, 합리적인 설명(explanation)을 추구했다.